최대절전모드 해제 방법 윈도우10 기준
대부분의 컴퓨터에는 전기를 절약하고 컴퓨터를 보호하기 위한 절전모드 기능이 내제되어 있습니다. 이 절전기능은 우리가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전기를 절약하기 위해 일종의 '가수면' 상태가 되게 하는데요.
하지만 굳이 이런 기능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저도 그런 사람들 중 하나인데요. 오늘은 윈도우 10에서 최대절전모드 해제 또는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윈도우10에서 최대절전모드 해제 하는 방법은 의외로 쉽습니다.
처음 하는 분들은 생소하고 낯설게 느껴지겠지만
이 포스팅을 보고 그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되는 쉬운 작업입니다.
먼저 윈도우 시작 버튼을 누른 다음,
윈도우즈 시스템 폴더에 있는 '명령 프롬프트'를 찾습니다.
사용자나 컴퓨터에 따라서 명령프롬프트의 위치가
다를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찾았다면 바로 클리하지 마시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을 해주세요.
그러면 시작화면에 고정, 그리고
자세히 라는 옵션이 나오는데요.
여기서 자세히로 들어가면 '관리자권한으로 실행'이란
옵션이 따로 있습니다.
이렇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해줘야
제대로 최대절전모드 해제 할 수 있답니다.
명령 프롬프트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위의 그림처럼 도스창이 나타나는데요.
여기에 다음과 같이 입력을 해줍니다.
powerchg -h off
powerchg(띄고)-h(띄고)off 입니다.
만약 최대절전모드를 다시 실행시키고 싶다면
위의 명령어에서 off를 on으로 바꿔서 입력하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윈도우 10 기준으로 최대절전모드 해제 방법에 대해서 정리했습니다.
최대절전모드가 되기 전에 컴퓨터를 쉬게 해주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랍니다^^